한겨레] 같은 기업이라도 직급별로 원하는 인재상이 다르다. 취업전문업체 인크루트 이광석 대표는 "성공적인 직장생활을 위해선 과연 기업이 어떤 인재를 바라는지 되새겨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취업 컨설턴트들의 의견을 기초로 해 직급별 인재상을 정리한다.

▶ 사원 생동감 넘치는 노력형

사원급

은 전 직급에서 유일하게 노력하는 모습 자체가 좋은 인재의 잣대로 작용할 수 있는 때다.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효과적으로 업무와 연결해 내는 전략이 필요하고, 멘토를 만들어 활용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또 기업은 적극적으로 직무 교육을 받고 관련 자격증을 취득하는 등 실무 습득을 위해 노력하는 인재를 선호한다. 기업에 생동감을 주는 밝고 낙관적인 성격까지 갖췄다면 더할 나위 없다.

▶ 대리 첫째도 둘째도 실무능력

대리급

은 어디 내놔도 손색없는 실무능력이 필수다.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고 실력으로 헤쳐나갈 수 있는 도전정신과 적응능력을 갖춰야 한다. 경력 지도를 설계해 네트워크를 쌓아가는 시기이기도 한다. 관리의 첫걸음을 배우는 단계라서 자신을 관리하는 법부터 익히는 게 좋다. 그 밖에도 새로운 기획을 해내고, 자신의 의견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시장을 어느 정도 분석하고 관측할 줄 아는 능력을 갖추길 기업은 바란다.

▶ 과장 실무·관리 둘 다 잘해야

과장급

은 중간자의 위치에서 실무와 관리 모두를 가장 잘해내야 하는 시기다. 경영자와 말단 직원을 유연하게 연결하고 조화를 이룰 수 있는 가교 역할을 해야 하는 만큼,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탁월해야 하고 '내가 아니면 안 되는' 핵심역량도 키워야 한다. 인적 네트워크와 매니지먼트 능력 등 진짜 '프로페셔널'의 능력이 이때 어느 정도 판가름 난다.

▶ 부장 진짜 리더…자기계발 중요

부장급

은 프로로서 정체성을 완성해야 하는 직급이다. 가시적인 성과를 내고, 기업에 수익을 가져다줄 수 있어야 한다. 스페셜리스트에서 제너럴리스트로 변모해 가며, '리더'로서의 자질을 키우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그 과정에서 자칫 실무적인 감각이 떨어질 수 있어 자기계발, 자기관리가 중요하다.

▶ 임원 넓은 시야와 결단력 요구

임원급

은 결과에 최종 책임을 져야 하는 만큼, 신중하면서도 빠른 결단력이 요구된다. 업무와 회사뿐 아니라 업계, 시장, 경제 흐름 등을 아울러 해석하는 넓고 깊은 시야를 가진 인재를 기업은 원한다. 구성원이 성과를 낼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고 잠재력을 끌어내는 역할을 해내야 한다. 골프 등 외적인 요소까지 두루 갖춰야 하며, 때로는 회사를 대변할 수 있어 인품도 필요하다.

정은주 기자ejung@hani.co.kr

기러기의 리더쉽
당신은... 먹이와 따뜻한 곳을 찾아
40,000km를 날아가는 기러기를 아십니까?

기러기는 리더를 중심으로
V자 대형을 그리며 머나먼 여행을 합니다.



가장 앞에 날아가는 리더의 날갯짓은
기류에 양력을 만들어 주어

뒤에 따라오는 동료 기러기가
혼자 날때 보다 71%정도
쉽게 날 수 있도록 도와 줍니다.



이들은 먼길을 날아가는 동안
끊임없이 울음소리를 냅니다.

그 울음소리는
앞에서 거센 바람을 가르며 힘들게 날아가는
리더에게 보내는 응원의 소리입니다.



기러기는 40,000km의 머나먼 길을
옆에서 함께 날개짓을 하는 동료를
의지하며 날아갑니다.

만약 어느 기러기가
총에 맞았거나 아프거나 지쳐서
대열에서 이탈하게 되면...



다른 동료기러기 두마리도
함께 대열에서 이탈해

지친 동료가 원기를 회복해
다시 날 수 있을 때까지...

또는 죽음으로
생을 마감할 때까지...



동료의 마지막까지 함께 지키다
무리로 다시 돌아옵니다.

- 톰 워삼 (Tom worsham)의 기러기 이야기 中 -

*****************************************

지금 우리는 기러기처럼
아주 멀고 험한 길을 날아가고 있습니다.

폭풍이 치고 비바람이 몰아치는 곳을
뚫고 날아가는 힘든 여정입니다.

지금 우리에겐 당신의 도전과
뜨거운 열정이 필요합니다.

나와 당신과 우리가
함께 날아가야 할 곳입니다.

- 기러기의 리더십에서 우리는 배웁니다. -

남들이 생각하는 “나”



남들이 생각하는 "나"와

내 자신이 생각하는 "나" 이 두 모습이

때론 당황스러울 만큼 다를 때가 있습니다.


자신을 다 드러내 보이지 않아서일 수도 있고

남들이 내게서 보고 싶은 것만 보고 자기

나름대로 단정짓기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때론 우리는 남들이 생각하는

내 모습에 그렇지 않은 자신을 구겨 넣고 있다는

생각이 들 때가 있습니다.


착한 사람 능력 있는 사람 분명한 사람

아름다운 사람 여러 틀 속에 자신을 맞춥니다.


이왕이면 더 많은 사람들에게

잘 보이려고 안감 힘도 써봅니다.


그러다 보면 자신을 버리고 다른 사람의 생활을

대신하고 있는 것 같은 자신을 발견하기도 합니다.


싫어도 좋은 듯 지루해도 즐거운 듯

어느 정도씩은 자기 것을 양보하고 살아야 하지만

그것도 지나치면 힘든 일입니다.


본 모습을 조금 드러내면 변했다 하고

사람들에게 맞추어 행동하다 보면

나중에는 이중인격자라는 오해도 받습니다.


남들이 바라는 나와 내가 바라는

나가 일치할 수 없는 노릇이지만 그 사이에서


우리는 위선이 아닌 최선을 선택하는

진정한 자기 모습을 잃지 말아야 겠습니다.


-좋은글 중에서- 


이기는 조직은 승리할 태세를 갖추고 적을 대한다 입니다.

경쟁에서 이기는 조직은 이미 승리할 태세를 갖추고 적을 대한다.


경쟁에서 지는 조직은 우선 싸우고 나서 후에 승리를 구하려 한다.

지모(智謀)가 뛰어나다는 평판도 무용(武勇)이 출중하다는 찬사도 받지 못하지만

항상 이기는 지도자야말로 최고의 지도자이다.

- 신한금융그룹 라응찬 전 회장의 '오십훈' 중에서

(출처 : 행복한 경영이야기)



 

                                                솔개의 교훈

 

솔개는 가장 장수하는 조류로 알려져 있다.

솔개는 최고 약 70세의 수명을 누릴 수 있는데 이렇게 장수하려면 약 40세가 되었을 때 매우 고통스럽고

중요한 결심을 해야만 한다.

 

솔개는 약 40세가 되면 발톱이 노화하여 사냥감을 그다지 효과적으로 잡아챌 수 없게 된다.
부리도 길게 자라고 구부러져 가슴에 닿을 정도가 되고, 깃털이 짙고 두껍게 자라 날개가 매우 무겁게 되어 하늘로 날아오르기가 나날이 힘들게 된다.

 

이즈음이 되면 솔개에게는 두 가지 선택이 있을 뿐이다.
그대로 죽을 날을 기다리든가 아니면 약 반년에 걸친 매우 고통스런 갱생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다.

 

갱생의 길을 선택한 솔개는 먼저 산 정상부근으로 높이 날아올라 그곳에 둥지를 짓고 머물며 고통스런 수행을 시작한다.  먼저 부리로 바위를 쪼아 부리가 깨지고 빠지게 만든다.


그러면 서서히 새로운 부리가 돋아나는 것이다. 그런 후 새로 돋은 부리로 발톱을 하나하나 뽑아낸다.

그리고 새로 발톱이 돋아나면 이번에는 날개의 깃털을 하나하나 뽑아낸다.


이리하여 약 반년이 지나 새 깃털이 돋아난 솔개는 완전히 새로운 모습으로 변신하게 된다.

그리고 다시 힘차게 하늘로 날아올라 30년의 수명을 더 누리게 되는 것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