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아침자로 썼던 기사에 대한 얘기입니다.
어제 삼성전자 종합기술원에서 인듐셀레나이드라는 이상한(?) 소재를 개발했다고 보도자료를 냈습니다.이름만 들어도 머리가 아파 후배에게 기사를 떠넘기려고 했습니다.하지만 실패로 돌아가 제가 직접 쓰게 됐지요.종합기술원에서도 기자들이 무슨말일지 모를까봐 직접 와서 설명까지 했습니다.
어제 삼성전자 종합기술원에서 인듐셀레나이드라는 이상한(?) 소재를 개발했다고 보도자료를 냈습니다.이름만 들어도 머리가 아파 후배에게 기사를 떠넘기려고 했습니다.하지만 실패로 돌아가 제가 직접 쓰게 됐지요.종합기술원에서도 기자들이 무슨말일지 모를까봐 직접 와서 설명까지 했습니다.
기사에 나온대로 인듐셀레나이드라는 소재는 자동차나 전자제품에서 발생하는 열을 전기로 바꿔 재사용할수 있는 물질입니다.지금까지 세계에서 개발된 소재중 가장 효율성이 높다는 걸 검증받았습니다.기분 좋은 소식이지요.저희처럼 노트북을 하루종일 켜놓는 사람들은 당장 상용화되면 좋겠다고 생각했지요.
헌데 의문이 들었습니다.전자업체가 왜 소재까지 개발해야 했을까.전화를 들고 물었습니다.
“전자업체가 소재까지 개발해서 어디다 쓰시려 합니까”
전화를 받은 사람은 이상완 종합기술원장이 했다는 말로 답을 대신했습니다.
“삼성이 LCD 판매 세계 1위다.하지만 정작 높은 수익을 올리는 기업은 LCD에 들어가는 다양한 소재를 납품하는 일본 회사들이다”
이상완 원장은 삼성전자 LCD를 세계 1위로 올려놓은 LCD 신화의 주인공입니다.
그가 신화를 일궈낸 후 내린 결론은 어쩌면 한국의 산업은 여전히 조립산업의 수준을 넘어서지 못하고 있다는 것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드는 대목이었습니다.LCD에 들어가는 수많은 소재를 일본에서 들여다 이를 조립해 파는 삼성전자의 화려한 세계1위 타이틀의 이면에는 엔화가 조금만 올라가도 수익이 급격히 감소하는 아픔이 있었던 거지요.그걸 뼈저리게 겪은 이 사장은 종합기술원장에 취임한 후 소재개발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보이고 있다고 합니다.
한마디로 이번 인듐셀레나이드 개발보다 더욱 중요한 것은 그 이면에 깔려 있는 삼성의 고민이라는 얘기입니다. 즉 소재산업이 취약한 한국의 산업구조에 대한 본질적 문제의식을 말하는 것이지요.
현재 각종산업에 사용되는 소재의 80% 이상을 수입하고 있다는 게 삼성측 얘기입니다.이런 상황에서 엔고 현상이 발생하면 한국기업들에는 뭐가 남는지를 생각해보면 아찔했다고 개발자들은 말합니다.결국 소재산업을 육성하지 않는다면 한국 전자산업은 겉으로는 화려해보이지만 저부가가치 조립산업에 그치고 말 것이라는 위기의식이 삼성전자의 사업을 소재부문까지 확장하게 만들었다는 겁니다.
일본에는 이런 소재를 만드는 수많은 회사들이 있답니다.한국은 사실상 초보단계구요.연구기간도 오래걸리고 성과내기도 힘드니까 잘 안하는 거겠지요.
이런 상상을 해봤습니다.
2012년 5월 어느날. 일본 도쿄 한 호텔에 일본 전자관련 기업들인들이 한데 모였다.D사 CEO가 일어나 모임의 취지에 대한 설명을 시작한다.
“수십년전 일본에서 기술을 얻어가 전자사업을 시작한 삼성이 지금은 반도체,LCD,휴대폰,TV 등에서 모두 세계 1위가 됐다.나아가 이제는 전자소재사업까지 하려 한다.LG전자도 계속 성장하고 있다.이런 현실을 그대로 둬야 하는가.일본 전자업계가 합심해 부품,소재,특허 등을 삼성전자 등 한국업체와는 거래하지 말아야 하는것 아닌가”
물론 이런 상황이 벌어지지 않으리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대비해야 할 이유가 있다며 서두르는 게 낫겠지요.어쩌면 삼성이 느끼는 위기감이 현실인지도 모릅니다. 지금 한국은 국가의 자원을 어디에 집중해야 할지 곰곰히 생각해봐야 할때 인듯 합니다.
요즘 같은 시대에 수십조의 돈을 털어넣어 온나라를 공사판으로 만드는 한국을 보며 일본 회사들은 무슨 생각을 하고 있을지 궁금 합니다,